Mindfulness 8

시간은 사람을 걸러준다

인터넷에서 우연히 발견하여 수첩에 적어 놓았던 문장 하나를 꺼내 본다. 그 문장은 '시간은 사람을 걸러낸다'이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많은 사람들을 만날 수 밖에 없는 사회적 동물이다. 나 또한 학창 시절부터 지금 까지 내 주변에는 친구, 후배, 선배 등으로 둘러 쌓여서 살아왔다. 많은 사람들과 부딪히면서 나의 에고는 상처받았으며, 인정받고자 했으며, 그리고 투쟁해 왔다고 고백한다. 타인은 어느 정도 나에게 즐거움도 주지만, 한편으로 나에게 커다란 아픔과 절망을 주는 존재이다. 전혀 모르는 사람은 그저 스쳐 가는 이에 불과하다. 그러나 오랜 시간 동안 인연을 맺어온 사람들은 내 감정을 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나는 내 의지보다 다른 사람의 감정이나 기분을 맞추어 살았던 적도 많았다. 멋지게 살아가..

Mindfulness 2024.02.12

불확실한 시간을 이겨내는 경구: 이것 또한 지나가리라!

"이것 또한 지나가리라" (This, Too, Shall Pass!) 내가 수첩에 적어 놓고 자주 보는 경구 중 하나는 "이것 또한 지나가리라"이다. 예전에 목사님의 설교에서 우연히 들었던 이 구절은 힘들거나 어려운 때마다 나를 지켜주고 일으켜 세울 수 있는 위로의 말이 되었다. 지난 이재철 목사님의 포스팅에서 언급한 것처럼, 양치기 출신에서 왕으로 올라간 다윗은 하나님의 기름 부음을 받은 인물이었다. 그는 인간임에도 불구하고 항상 불안함을 느꼈으며, 왕이 된 후에도 심리적 불안을 안고 있었다. 그래서 그가 왕위에 오른 후에도 자신이 교만해질까 두려워하며 자주 불안감을 느끼곤 했다. 어느 날, 그는 이스라엘에서 소문난 금은세공인을 왕실로 불러서 이러한 주문을 내렸다. "내가 지금 왕이 되어 자만심이 하늘..

Mindfulness 2023.08.31

어떤 삶을 살고 싶습니까?: 이재철 목사님께 듣는 하나님 말씀

묵상이 잘 안될 때마다 펴보는 책이 있습니다. 그 책은 이재철 목사님이 펴낸 《인간의 일생》입니다. 이재철 목사님은 제가 섬기는 교회의 퇴임 목사님이십니다. 그는 본인이 처음부터 일구신 교회를 후배 목사님들한테 부탁하고 지금은 거창에 내려가서 살고 계십니다. 지금도 간혹 이재철 목사님의 설교 하시던 모습이 눈앞에 아른거립니다. 모든 설교 내용을 예배 전날에 다 암기하시고 종이 몇 개만 손에 들고 말씀하시던 그 모습이 말입니다. 그는 성도들의 눈을 맞춰가면서 성령이 충만한 설교를 몸소 보여주셨습니다. 이재철 목사님은 사람을 믿지 말고 주님에 의지하라고 하시지만, 저는 하찮은 인간인지라 오늘 같은 날은 목사님의 설교가 그립습니다. 신학도들이 가장 존경하는 이재철 목사님은 책을 꽤 많이 내셨습니다. 그중에서 ..

Mindfulness 2023.07.12

참나(眞我)를 찾는 방법: 루퍼트 스파이라

명상은 참나를 찾아가는 길입니다. 오늘은 루퍼트 스파이라라는 세계적 명상 지도자의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그가 쓴 책이 얼마 전에 출간되었습니다. 그 책은 연세대학교 김주환 교수님이 번역한 입니다. 루퍼트 스파이라가 누구인지를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는 1960년생으로 영국의 예술대학에서 도예를 전공한 도자기 예술가이자 명상 지도자입니다. 그는 실제 예술가로 명망이 높습니다. 기독교 집안에서 태어난 스파이라는 어린 시절부터 부모님이 참석하는 베단타학파의 철학 공부 모임에 많은 영향을 받습니다. 이 베단타 철학은 8세기의 인도 철학자인 샹카라가 정립한 철학 사조입니다. 이는 기본적으로 비이원론(non dualism)을 표방합니다. 비이원론이란, 세상의 모든 현상이 분리되어 있지 않다고 보는 관념입..

Mindfulness 2023.07.11

대운(大運)을 어떻게 받을 수 있나?

우리 모두는 운이 좋기를 기원합니다. 운은 평상시보다 중요한 순간이나 절체절명의 순간에 그 위력이 드러납니다. 예를 들어, 사법시험에서 자신이 공부를 집중적으로 한 부분에서 문제가 출제되어 고시를 통과한 사람도 있습니다. 이와 같은 운은 어디서부터 오는가? 이 질문에 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오늘도 제가 존경하는 조용헌 교수님이 이야기한 운을 받는 방법을 저의 방식으로 해석하여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조용헌 살롱, 2007년). 국내에서 맹자 연구의 대가로 꼽히시는 학자가 하금곡(河錦谷) 선생님입니다. 조용헌 교수가 금곡선생님을 만나서 운의 실체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여쭈어봤다고 합니다. 금곡 선생님은 인간에게 대운은 평생 두번에서 세번은 찾아온다고 말합니다. 저도 제 삶을 돌이켜보건대 한두 번의 좋..

Mindfulness 2023.07.07

운(運)은 만들어 질 수 있나?

여러분은 운(運)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하시는지요? 저는 운은 우리 스스로가 만들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운은 신이 내린 선물이지만, 저는 운은 인간의 행동에 따라 생성되거나 소멸할 수 있다고 봅니다. 저와 같은 생각을 하신 분이 계시는데 그분 이름이 고바야시 세이칸입니다. 세이칸이 저술한 책인 《인생을 바꾸는 데는 단 하루도 걸리지 않는다》 에는 운을 만드는 방법에 대하여 잘 기술하고 있습니다. 이분은 심리학 박사로 연구원, 가수, 작사가 등으로 일하고 있는 소위 멀티 플레이어입니다. 그는 학창 시절부터 초자연 현상에 대하여 많은 관심을 두고 초능력에 관하여 많은 연구를 했다고 합니다. 그는 당연히 신의 존재에 대해서 인정합니다. 이 책에서 그는 “신이 과연 좋아하는 일이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을 던집..

Mindfulness 2023.07.07

팔자를 고칠 수 있나?

우리는 주위에서 “타고난 팔자 때문에 어쩔 수 없다” 라는 이야기를 많이 듣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팔자란 무엇일까요? 이는 사주팔자의 줄임말입니다. 우리는 태어날 때부터 정해진 운명에 따라 살아간다는 것이 사주팔자의 중요 원칙입니다. 이를 맹신하는 사람들은 제아무리 발버둥을 쳐봤자 인생은 정해졌다는 고정된 세계관을 갖고 삽니다. 팔자는 어머니 탯줄을 자르는 순간에 정해집니다. 이는 하늘을 뜻하는 ‘甲乙丙丁戊己庚申壬癸’의 10천간(하늘 天, 기둥 干)과 땅을 나타내는 ‘子丑寅卯辰巳午未辛酉戌亥’의 12지지(땅 地, 가지 支)를 年, 月, 日, 時의 네 기둥 위아래의 두 글자씩인 여덟 글자로 구성되지요. 여덟 글자가 다 중요하지만, 특히 ‘나’를 의미하는 일주가 중요합니다. 일주의 음양오행에 따라 나의 기질이..

Mindfulness 2023.07.06

어떻게 불안을 이길 수 있나?: 인문학의 힘

오늘은 제가 좋아하는 김진명 작가의 《때로는 행복 대신 불행을 택하기도 한다》에 나오는 인문학의 내공에 관해서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김진명 작가는 그의 에세이에서 인문학이 가진 힘에 관해서 이야기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힘’은 두 가지로 나뉩니다. 그중 하나는 ‘외면의 힘’ 입니다. 이는 지식, 지위, 돈, 외모 등 눈에 보이는 외향적 면을 말합니다. 이 힘은 가지면 가질수록 자신이 초라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돈은 가지면 가질수록 여러 가지 분란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다른 힘은 ‘내면의 힘’ 입니다. 고급 차나 화려한 집처럼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이는 가지면 가질수록 마음이 편해지고 행복감을 느끼게 하는 힘을 말합니다. 내면의 힘을 가진 사람은 자신과의 타협에 능한 사람입니다..

Mindfulness 2023.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