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경영 26

장인정신의 메카. 에르메스!

"Everything changes, but nothing changes." 1837년에 창업된 에르메스는 ‘장인 정신’을 대표하는 회사로, 많은 사람들이 이 브랜드를 환영하는 이유는 그들의 철학에서 비롯됩니다. 에르메스가 럭셔리 패션 분야에서 우뚝 서 있는 연유는 창업자 티에르 에르메스의 제품 철학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에르메스는 승마 용품 제작에서 시작했습니다. 창업자 티에르는 창업 초기 승마 용품을 만들 때 부터 가죽 선택, 바느질 처리, 염색 등과 같은 모든 과정에 심혈을 기울였습니다. 그의 중요한 철학은 디테일에 있습니다. "God in detail!" 티에르는 장인 정신의 실현을 통해 최고 품질을 지향했습니다. 그가 에르메스를 통해 나타내고자 하는 브랜드의 특성은 '세심함'과 '정성'이었습니..

펀경영 2023.10.13

스트리트 패션 혁신가, 버질 아블로를 기억하며!

2021년 11월 29일, 한 시대를 풍미한 디자이너 버질 아블로가 갑작스럽게 향년 41살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그는 패션 디자이너로만이 아니라, 문화 크리에이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한 인물로 기억됩니다. 그는 기존의 것을 파괴하여 새로운 형태를 창조하고자 노력한 디자이너였지요. 오프 화이트는 많은 MZ 세대의 사랑을 받는 브랜드로 성장하였습니다. 이러한 성공을 이룬 과정에서 큰 역할을 한 이가 바로 버질 아블로, 오프 화이트의 창업자입니다. 그는 온라인 소셜미디어에서 360만 명 이상의 팔로우를 보유한 인플루언서였습니다. 그는 다양한 셀러브리티와 협력하며 이슈를 만들어냈으며, 루이비통 남성 컬렉션 발표 시에는 약 1,500명의 일반인을 초대하여 화제를 모으기도 했습니다. 버질은 루이비통의 남성복 아..

펀경영 2023.08.28

펠로톤의 반등을 기대하며!

모건스탠리는 2023년 4월, 펠로톤의 2023 회계연도 3분기 웹 트래픽이 전년 동기 대비 27% 감소한 사실을 발표했습니다. 로렌 센크 모건스탠리의 애널리스트는 "펠로톤의 웹 트래픽은 코로나19 유행 이전보다는 많지만, 최근 2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한국경제, 2023년 4월 23일). 코로나 이후 빠른 성장을 이어온 펠로톤이 이처럼 어려움을 겪은 이유는 기본적으로 혁신성을 유지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코로나 초기에 혁신적인 스마트 바이크와 웹을 통해 실내에서 사용자들에게 즐거움을 제공했으나, 그 후 '혁신'에 대한 준비를 소홀히했습니다. 이는 소비자들을 계속해서 유치하는 데 실패한 원인이 되었습니다. 펠로톤을 다룰 때는 창업자인 존 폴리 부부의 역할을 알아보는 ..

펀경영 2023.08.13

미러의 성공 전략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홈트레이닝 열풍이 불었습니다. 팬데믹 시대에 위기를 경험하는 회사도 있지만, 반대로 혜택을 입은 회사도 많습니다. 모든 일에는 음과 양이 존재하는 법입니다. 2020년에 룰루레몬은 미러를 5억 달러가 인수하겠다고 발표합니다. 룰루레몬은 이미 2019년에 100만 달러를 미러에 투자하면서 홈트레이닝 시장의 미래를 봤습니다. 미러는 브린 퍼트남이 창업한 회사입니다. 그녀는 원래 발레를 전공한 무용학도였습니다. 7살 때부터 무용을 시작하여 아메리칸 발레학교를 졸업하였습니다. 그녀는 뉴욕시 발레단에 입단할 정도로 뛰어난 무용 실력을 갖추고 있었습니다. 그녀는 발레만이 아니라 학업에서도 뛰어난 능력을 발휘했습니다. 발레학교 졸업 후 하버드 대학교에 진학하여 러시아 문학을 전공했습니다. 퍼트..

펀경영 2023.07.26

빌리 빈의 성공 전략

야구사에는 여러 가지 사건들이 있다. 그중에서 메이저리그의 변곡점적 사건은 사이버 매트리스의 적용이라고 생각한다. 사이버 매트릭스는 야구 전문가인 빌 제임스(Bill James)가 처음으로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군대를 제대한 후 통조림 공장의 보안요원으로 재직하게 된다. 일하는 와중에 틈틈이 쓴 야구 글이 기사가 되기도 했다. 그의 신문 기사는 주로 박스 스코어를 가지고 경기를 분석하였다. 객관적 데이터를 통한 그의 야구 분석은 야구 전문가들로부터 호평을 얻었다. 2003년부터 빌은 보스턴 레드삭스에 영입되었다. 이후 그는 보스턴의 86년 만의 우승에 크게 이바지한 사람으로 팬들에게 기억될 수 있었다. 이 사이버 매트릭스를 본격적으로 구단에 적용한 사람은 오늘 이야기하고자 하는 빌리 빈이다...

펀경영 2023.07.24

코오롱 스포츠의 솟솟 상회 전략

장수하는 레저 브랜드의 특징은 무엇일까? 장수 브랜드들은 소비자의 기대에 부응하려고 끊임없이 노력하는 특징이 있다. 그들은 소비자들로부터 신뢰를 넘어 사랑을 받는다. 팬데믹 전 한국의 아웃도어웨어 시장 상황은 소위 춘추전국의 시대였다. 코로나가 급습한 이 시장은 진정한 강자만이 생존할 수 있는 곳으로 바뀌었다. 오늘 이야기하는 코오롱FnC는 팬데믹의 파고(波高)를 잘 넘은 회사이다. 코오롱FnC는 1973년에 창업한 브랜드 수명으로만 50년이 넘는 회사이기도 하다. 코오롱이 오랫동안 한국 아웃도어 웨어의 대명사로 인정받은 이유는 시대의 흐름을 잘 파악한 경영 전략에 기인한다. 예를 들어, 코오롱FnC는 MZ 세대가 좋아할 만한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2015년 시그니처 헤비 다운 제품인 ‘안..

펀경영 2023.07.17

못난이 신발의 반란: 크록스 성공 전략

내가 가르치는 수업은 , 이다. 이 수업 시간에서 자루 다루는 부분 중 하나가 창업자 스토리이다. 레저 서비스 창업자들은 어떻게 성공적 스타트업을 행했는가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몇 가지 사례들을 찾아 설명한다. 레저서비스 창업자들의 성공방정식 중 하나는 자신의 경험이다. 자신이 특정한 레저 활동을 하면서 경험했던 불편함이나 애로 사항을 적극적으로 변화해보려는 의지가 사업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오늘 이야기하는 크록스 신발은 우리가 흔히 보는 못난이 신발의 대명사이다. 크록스는 2002년에 시장에 나왔다. 이 회사를 콜로라도 볼더 출신 청년 세명인, 린든 핸슨, 스캇 시맨스, 조지 베덱커가 만들었다. 이들은 원래 파도타기를 즐겼던 아웃도어 레저 액티비티 덕후들이었다. 이들이 해변에서 파도타기를 즐기면..

펀경영 2023.07.10

노이즈 마케팅: 버거킹의 전략

레저 서비스 시장에서 약자가 시장을 이미 선점한 강자에 대항할 카드는 많지 않다. 약자가 이 시장에서 자기의 존재를 알리기는 상당히 어렵다는 말이다. 후발 주자의 전략 중 하나는 ‘강자'를 자극하는 것이다. 햄버거 시장의 업계 1위는 당연히 맥도날드이다. 이 시장에 2등은 웬디스이고, 3등이 버거킹이다. 우리는 마치 맥도날드 다음으로 버거킹이라고 생각한다. 왜 그럴까? 버거킹이 끊임없는 노이즈 마케팅이 성공했기 때문이다. 버거킹은 1986년도에 처음으로 맥도날드에 대한 비교 광고를 내놓기 시작하였다. 사람들은 맥도날드와 버거킹의 비교 광고에서 버거킹의 존재를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었다. 비교 광고가 사람들의 화두로 등장한 것은 2000년 이후 부터이다. 2007년 광고에서 버거킹은 와퍼를 빅맥 박스에 넣..

펀경영 2023.07.08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답이다: 도미노 피자 성공 전략

간혹 맡게 되는 피자 굽는 냄새는 미국 유학 시절로 끌고 가는 촉매제이다. 미국 중부의 겨울은 나에게 한국에서는 경험하지 못했던 강추위를 선사했다. 당시에는 논문 pdf 파일이나, 클라우드 저장 기술이 없던 때라 읽어야 하는 학술지를 매일 30여 편을 가방에 넣어서 다녔다. 눈이 몇십 센티미터나 내린 날에 무거운 가방을 메고 수업을 듣고 기숙사로 오면 항상 출출했다. 방에 수십 편의 학술 논문을 쭉 펼쳐 놓고 데스크톱 PC와 무게 차이 나지 않은 벽돌 노트북을 두드리다 배고프면 자주 피자를 시켜 먹었다. 피자 몇 조각으로 허기를 달래고 새벽까지 논문을 읽고, 정리하고, 쓰고, 논문에 색을 칠하고, 노트북에다 영어와 한국어로 정리하는 등의 일들을 하다가 지치면 쓰러져 잤다. 나는 지금도 당시 맛보았던 그 ..

펀경영 2023.07.04

아디다스 스피드팩토리는 어디로 옮겨질까?

근래 레저 서비스연구자들에게 2016년부터 3년 동안 운영되었던 아디다스 스피드 팩토리의 차기 행선지가 어디로 결정될지가 초미의 관심사이다. 스피드 팩토리는 아디다스의 야심작이었다. 아디다스는 자동화, 소비자의 욕구 반영, 저임금 시스템 탈피 등의 원대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로봇 공장 시스템을 실행에 옮겼다. 여러 레저 마케팅 연구자들은 스피드 팩토리가 서비스에서 어떠한 역할을 수행할지에 대해서 많은 관심을 가졌다. 이 곳의시작은 창대했지만 결과는 큰 성과를 얻지 못하고 끝난 이유가 생산되는 ‘신발 모델의 제약’ 때문이었다. 아디다스의 인기 있는 모델 제품들을 생산하기에 한계가 있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가장 인기 있는 슈퍼스타나 스탠 스미스와 같은 제품은 스피드 팩토리에서는 제작할 수가 없었다. 코로..

펀경영 2023.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