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 History & Sci

📉 "14억 하던 세종 아파트, 지금은 6억?" 지방 부동산 시장 붕괴 🚨

아이언써클 2025. 3. 10. 08:36
반응형



최근 지방 부동산 시장이 급락하면서, 한때 14억 원까지 치솟았던 세종시 아파트가 6억 원대까지 추락하는 등 주요 광역시 인기 지역도 집값 하락을 피하지 못하고 있다.

한때 수도권과 함께 부동산 시장을 주도했던 지방 시장이 3년 만에 붕괴 위기에 처한 이유는 무엇일까?


---

🏡 세종·광역시 아파트 가격, 얼마나 떨어졌나?

📌 세종시 ‘e편한세상 세종리버파크’ (99㎡)

2020년 최고가: 14억 원

2025년 2월 거래가: 6억 500만 원 (-57%)


📌 부산 해운대 ‘더샵센텀파크1차’ (151㎡, 41층)

2021년 거래가: 24억 원

2025년 최근 거래가: 16억 6000만 원 (-31%)


📌 광주 ‘봉선3차한국아델리움’ (84㎡)

2022년 최고가: 13억 6000만 원

2025년 최근 거래가: 8억 9000만 원 (-34.6%)


📌 울산·대전 등 지역 주요 아파트

평균 10~30% 하락



---

🔍 왜 이렇게 폭락했을까?

1️⃣ 거래 절벽, 사려는 사람이 없다!

부산 지역의 1월 주택 매매 거래량이 전월 대비 28.2% 감소하면서 거래 자체가 사라졌다.

주택 거래 3요소(매매·경매·청약) 모두 붕괴

전세·월세 거래량도 21.7% 감소


고준석 연세대 교수는 **"지방 광역시는 최근 2~3년간 거래 자체가 끊긴 상태"**라고 진단했다.

2️⃣ 경매 시장도 부진

📌 2020년~2021년 지방 경매 낙찰가율: 95~104%
📌 2025년 현재 지방 경매 낙찰가율: 78.9% (세종 81.4%)

지방에서도 "감정가가 낮아져도 안 팔린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부동산 시장 침체가 심각하다.

3️⃣ 청약 시장도 위기

📌 5대 광역시 청약 경쟁률 변화

2020년: 32.1 대 1

2021년: 9.7 대 1

2024년: 2.8 대 1 (역대 최저 수준)


지방에서는 신규 아파트도 미분양 상태로 남아 있는 경우가 많다.

4️⃣ 인구 감소와 지역 경제 침체

지방 부동산 위기의 근본적인 원인은 인구 유출이다.

2024년 지방 광역시 인구 감소 현황

부산: -2만 7073명

광주: -1만 1144명

대구: -1만 563명

울산: -5581명

대전: -2588명



✔ "집을 살 사람이 없다" → "부동산 가격이 계속 떨어진다"

이창무 한양대 교수는 "지방 부동산 침체는 인구, 산업 등 구조적 문제와 연관되어 있어 단순한 부동산 정책만으로 해결하기 어렵다"고 경고했다.


---

🚨 지방 부동산 시장, 앞으로 어떻게 될까?

✔ 부동산 시장 침체가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
✔ 인구 유출이 멈추지 않는 한, 지방 부동산 회복은 쉽지 않다.
✔ 수도권 일부(강남·서초·용산)만 상승하는 ‘양극화’ 심화 예상

👉 "지방 아파트를 싸게 살 기회"라는 말도 있지만,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 "부동산 시장 자체가 구조적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 출처: 매일경제


반응형